유월절, 무교절 연구 자료 > 매일성경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주간성도의 생활 고백서는 무엇 인가?         서울남부교회 정동균 목사

주간성도의생활고백서는 매일3번 개인예배중 두 번째 경배의 시간인 오전 경배의 시간에 활용하는 1년 52주간 동안 

매일 기록하는 영적 기록서이다그러므로 주간성도의생활고백서에 대해서 보다 더 자세하게 알려면 매일 3번 

개인예배를 알아야 한다.

 

매일 3번 개인예배는 아브라함다니엘초대 교회 사도들의 신앙을 본받은 영성생활입니다

하늘의 별보다 빛난 신앙생활을 했던 신앙의 위인들은 매일 시간을 정해서 하나님께 예배를 드렸습니다.

신앙생활은 하나님을 섬기는 생활이며사람은 예배(=경배)와 순종을 통해서 하나님을 섬깁니다.

 

■ 홀로 하는매일 3번 개인예배순서 

1. 첫 번째 개인예배 아침에 잠자리에 일어날 때 (약 5)

① 침상에서 일어 난 그대로 먼저 하루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기도 드린다.

② 사도신경으로 신앙고백을 드린다.

③ 십계명을 입으로 고백하면서지키겠다는 다짐을 드린다.

 

2. 두 번째 개인예배 아침에서 정오까지 자신이 가장 좋은 시간 (30)

① 시간과 장소를 정해 신앙고백감사기도중보기도를 한다.

② 반드시 성경 1장을 읽으면서 그 의미와 교훈을 생각하고자신에게 적용하며이때주간성도의생활고백서를 활용한다.

③ 주기도문으로 마친다.

 

3. 세 번째 개인예배 하루 일을 마치고 밤에 잠자리에 들 때 (약 3)

① 침상에 든 그 상태로혹은 장소를 정하여 기도드린다.

② 지나 온 하루를 회상하며다가 올 내일을 위하여 기도를 드린다.

 

<매일 중요 기도 내용>

감사기도 개인간구기도 직분과 사명을 위한 기도

❹ 중보기도 가족친지국가교회와 성도, 목회자선교사, 다음 주일예배를 위한 기도 등

매일성경

유월절, 무교절 연구 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4-14 08:16 조회6,640회 댓글0건

본문

<유월절 연구>

1. 유월절<▶히브리어는 ‘페사흐’, 영어는 ‘Pass over’, 그리스어는 ‘파스카’>은 그 뜻이 한자어로 ‘흐를 유, 넘을 월, 절기 절’로서, 애굽의 모든 처음 난 것<▶애굽의 온 사람의 장자와 가축의 처음 난 것>을 치신 하나님의 사자가 심판을 행하면서 이스라엘 집의 문 위와 좌에 어린 양의 피가 뿌려져 있는 것을 보고는 ‘넘어갔다’라는 뜻의 한글 번역입니다. 신약시대에는 유월절은 지키지 않고 예수님을 통해 구원을 받은 날인 부활절을 기념하여 지킵니다. 

 

2. 유월절의 기간은 유대력 니산월 14일 저녁이며, 이스라엘 자손들이 하나님의 은혜로 애굽에서 구출된 때의 최후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절기입니다. 

 

3. 유월절 날, 어린 양을 잡고 그 피를 이스라엘 집의 문 위와 좌우에 뿌렸던 것은 예수님을 피 흘림을 통한 구원받음을 의미하며, 유월절 밤에 쓴 나물을 먹고 누룩이 들어가지 않은 빵 곧 무교병을 먹은 이유는 이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애굽에서 겪는 고통을 기억하기 위함입니다.

 

 

<무교절 연구>

무교절은 유월절 다음날인 니산월 15일부터이며 7일간을 지켰는데 이때는 누룩 없는 빵을 구워 먹으면서 출애굽을 생각하며 기념했습니다.<▶누룩을 넣어 반죽이 부풀어 오를 때까지 기다릴 시간이 없어서임(출12:11), 누룩을 넣으면 쉽게 부패하기 때문임(출12:34) ※누룩은 발효가 결국 분해와 부패로 가기 때문에 부패의 상징으로도 사용했음(막8:15) 그러나 천국을 설명하면서 긍정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음<마13;33)> 또한 무교절은 첫날을 성회로 모이고 마지막 날인 칠일째에도 성회로 모였는데 성회 날에는 음식을 만드는 일 외에는 어떤 일도 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서/울/남/부/교/회
06982 서울 동작구 흑석한강로 13
TEL: 목양실 825-7200, 교회학교 825-2062~3
팩스 825-7261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